국외매출 부가세 조회방법 페이팔 애드센스 아마존
안녕하세요! 요즘은 유튜브나 아마존, 이베이처럼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분들이 정말 많아졌어요. 멋지게 외화를 벌어들이는 건 정말 신나는 일이지만, 막상 세금 신고 기간이 다가오면 ‘국외 매출은 어떻게 신고해야 하지?’ 하고 머리가 복잡해지기도 하죠. 특히 부가가치세 신고 때 국외 매출 자료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하셨다면 오늘 포스팅에 주목해주세요! 😉
페이팔, 구글 애드센스, 아마존 등 주요 플랫폼별로 매출 내역을 어떻게 조회하고 준비하는지 쉽고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국외 매출과 부가가치세, 그리고 ‘영세율’
먼저 가장 중요한 개념부터 알아보고 갈까요? 바로 ‘영세율’입니다. 해외에 재화나 용역을 공급하며 외화를 벌어들이는 경우, 부가가치세법에서는 0%의 세율, 즉 ‘영세율’을 적용해준답니다.
영세율이 왜 중요한가요?
“어차피 세금 0%면 신고 안 해도 되는 거 아니야?”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절대 그렇지 않아요! 영세율은 세금이 아예 없는 ‘면세’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영세율 적용을 받으면 매출에 대한 세금은 0원이면서, 사업을 위해 지출한 비용(매입)에 포함된 부가세(매입세액)는 전부 환급받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유튜브 영상 제작을 위해 110만 원(공급가액 100만 원 + 부가세 10만 원)짜리 장비를 샀다면, 이 부가세 10만 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뜻이죠. 정말 큰 혜택 아닌가요?
영세율 적용을 위한 필수 서류
이런 혜택을 받으려면 당연히 국세청에 “제가 외화를 벌었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합니다. 그래서 국외 매출 내역과 함께 ‘외화입금증명서’ 같은 서류를 꼼꼼히 챙겨야 해요. 오늘 우리가 알아볼 플랫폼별 매출 조회 방법이 바로 이 증명을 위한 첫걸음이 되는 셈입니다.
페이팔 (PayPal) / 이베이 (eBay) 매출 내역 조회하기
이베이 셀러분들이나 해외 클라이언트와 페이팔로 거래하는 프리랜서분들이 많으시죠? 다행히 페이팔은 매출 내역 조회가 아주 간편한 편이에요.
- 페이팔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로그인해주세요.
- 상단 메뉴에서 [활동 내역(Activity)]으로 들어간 후, 우측의 [명세서(Statements)]를 클릭합니다.
- [맞춤형(Custom)] 탭을 선택하고, 부가세 신고 기간에 맞춰 날짜 범위를 설정해주세요.
- 거래 유형과 파일 형식(CSV 추천)을 선택한 뒤 [보고서 생성(Create Report)] 버튼을 누릅니다.
- 잠시 후 보고서가 준비되면 [다운로드(Download)] 버튼이 활성화돼요. 클릭해서 엑셀 파일로 저장하면 끝! 정말 간단하죠?
혹시 파일 형식을 선택하는 곳이 바로 보이지 않는다면, ‘Download Log’ 같은 메뉴에서 파일 확장자를 선택할 수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구글 애드센스 (Google AdSense) / 유튜브 수익 조회하기
우리 유튜버분들의 소중한 수익! 구글 애드센스에서 확인해야 하는데요. 아쉽게도 애드센스는 페이팔처럼 깔끔한 엑셀 파일 다운로드를 지원하지는 않아요. 그래서 화면을 직접 캡처하는 방법이 가장 확실합니다.
전체 계정의 일별 수입 확인
애드센스 계정에 로그인한 뒤, 왼쪽 메뉴에서 [지급] > [지급 정보] 순서로 들어가면 기간별 총수입과 거래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부가세 신고 기간에 맞춰 월별 화면을 선명하게 캡처해서 저장해주세요. 자료가 여러 장이라면 월별로 폴더를 만들어 정리하면 더욱 좋겠죠.
채널별/사이트별 상세 수입 확인
만약 여러 유튜브 채널이나 웹사이트를 운영한다면, 각각의 수익을 따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보고서] 메뉴를 활용하면 됩니다. 보고서 메뉴에서 원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제품별’ 또는 ‘URL 채널별’로 필터링하여 각 채널의 예상 수입을 확인하고 캡처하면 됩니다.
아마존 (Amazon) 매출 내역 조회하기
아마존 글로벌 셀러분들도 주목! 아마존 역시 리포트 기능을 통해 매출 자료를 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 아마존 셀러 센트럴에 로그인 후, 상단 메뉴에서 [Reports(보고서)] > [Payments(지급)]로 이동합니다.
- 여러 탭 중에서 [Date Range Reports(날짜 범위 보고서)]를 클릭해주세요.
- [Generate report(보고서 생성)] 버튼을 누르고, 보고서 유형은 ‘Transaction(거래)’, 기간은 부가세 신고 기간에 맞게 설정합니다.
- 보고서가 생성되면 다운로드하여 저장합니다.
이때 다운로드한 파일은 보통 CSV나 TXT 형식일 거예요. 이 파일을 엑셀에서 열어 .xlsx 형식으로 변환하여 저장해두시는 것이 나중에 자료를 제출하거나 관리하기에 훨씬 편리하답니다.
이렇게 플랫폼별로 매출 자료를 미리 챙겨두시면, 2025년 부가세 신고 기간에 당황하지 않고 여유롭게 대처할 수 있을 거예요. 국외 매출, 어렵게만 생각하지 마시고 차근차근 준비해서 영세율 혜택까지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