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비앤비 부가가치세 신고 매출 조회 방법

에어비앤비 부가가치세 신고 매출 조회 방법

 

에어비앤비 부가가치세 신고 매출 조회 방법

안녕하세요! 에어비앤비 호스트 여러분. 🌬️ 어느덧 시간이 훌쩍 지나 또다시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이 다가왔어요. 1년에 두 번, 1월과 7월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부가세 신고, 매번 할 때마다 새롭고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특히 우리 같은 에어비앤비 호스트들은 플랫폼을 통해 매출이 발생하다 보니, 정확한 매출 내역을 어떻게 확인하고 신고해야 할지 막막할 때가 정말 많아요.

“대체 내 매출은 얼마로 잡아야 하지?”, “어떤 자료를 챙겨야 할까?” 이런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그래서 오늘은! 저와 함께 에어비앤비 부가가치세 신고의 핵심인 ‘매출 조회 방법’을 차근차근, 아주 쉽게 알아보려고 해요. 이것만 잘 따라오시면 부가세 신고의 절반은 성공한 거나 다름없답니다. 자, 그럼 시작해볼까요?

 

👉 세금정보 확인하기 👈

 

부가가치세 신고, 왜 에어비앤비 매출 조회가 중요할까요?

세금 신고의 가장 기본은 바로 ‘정확한 수입’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너무나 당연한 말 같지만, 에어비앤비 같은 플랫폼 수익은 이 부분이 제일 헷갈리기도 합니다.

부가가치세,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부가가치세(VAT)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얻은 이익(마진)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에요. 우리 에어비앤비 호스트들은 숙박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 발생한 매출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신고하고 납부할 의무가 있습니다.

보통 사업자는 일반과세자간이과세자로 나뉘어요.
* 일반과세자는 1년에 두 번(7월, 1월) 부가세를 신고하고, 매출세액(10%)에서 매입세액을 공제받아 세금을 납부합니다.
* 간이과세자는 직전 연도 공급대가가 8,000만 원 미만인 사업자로, 1년에 한 번(1월) 신고하며, 일반과세자보다 낮은 세율을 적용받는 대신 매입세액 공제 혜택이 적습니다.

어떤 유형이든 나의 정확한 매출액을 아는 것이 모든 세금 계산의 출발점이라는 사실! 꼭 기억해주세요.

에어비앤비 호스트는 어엿한 사업자!

“나는 그냥 남는 방 빌려주는 건데…”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세법상 수익을 목적으로 숙박 서비스를 계속적, 반복적으로 제공한다면 명백한 사업 활동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사업자 등록을 하고, 발생한 소득에 대해 성실하게 세금을 신고해야 해요. 국세청은 이미 에어비앤비 같은 공유숙박 플랫폼을 통해 발생하는 소득을 파악하고 있으므로, “설마 모르겠지”라는 생각은 정말 위험해요. 정직한 신고가 가장 좋은 절세 방법이랍니다.

정확한 매출 자료, 절세의 첫걸음이에요

매출을 누락하면 나중에 가산세라는 무서운 폭탄을 맞을 수 있어요. 반대로 불필요한 금액까지 매출로 잡아 세금을 더 내는 일도 없어야겠죠? 에어비앤비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고해야만, 누락 없이, 또 과납 없이 깔끔하게 신고를 마칠 수 있습니다. 또한, 정확한 매출을 알아야 이를 기반으로 관리비, 청소비, 비품 구매비 등 사업에 사용된 경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제받을 수 있어요.

에어비앤비 매출, 어디서 어떻게 확인하나요?

자, 이제 가장 중요한 실전 단계입니다! 생각보다 정말 간단하니 겁먹지 말고 천천히 따라와 주세요. 스마트폰 앱에서는 기능이 제한될 수 있으니, 꼭 데스크톱 PC나 노트북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로그인해주세요.

개별 예약 건별로 확인하는 방법

가끔 특정 예약 건에 대한 영수증만 따로 필요할 때가 있죠? 그럴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1. 에어비앤비 홈페이지에 로그인한 후, 우측 상단의 [예약] 메뉴로 들어가 주세요.
  2. 매출을 확인하고 싶은 예약 건을 찾아, 예약 정보 오른쪽의 점 세 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3. 나타나는 메뉴에서 [부가가치세 영수증]을 선택하면 해당 예약에 대한 상세 내역과 영수증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이 방법은 한두 건 확인할 때는 편하지만, 부가세 신고처럼 전체 기간의 내역이 필요할 때는 조금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전체 예약 내역 한 번에 다운로드하기 (강력 추천!)

부가세 신고를 위해서는 일정 기간의 전체 매출 내역이 필요하므로, 이 방법을 사용하시는 것을 강력히 추천해요! 엑셀(CSV) 파일로 한 번에 다운로드해서 관리하면 정말 편하답니다.

  1. 마찬가지로 로그인 후 [예약]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예약 목록 오른쪽 위에 있는 [내보내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3. ‘다운로드할 파일 선택’ 창이 뜨면, ‘CSV 파일 다운로드’를 선택하고, 파일 형식은 ‘수입 내역’ 또는 ‘거래 내역’을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4. 가장 중요한 ‘정산 날짜’를 설정합니다. 부가세 신고 기간에 맞춰 조회 기간을 정확히 입력해주세요.
  5. 마지막으로 [보고서 생성] 또는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끝! 내 컴퓨터에 엑셀 파일이 저장될 거예요.

잠깐! 신고 기간에 맞는 ‘정산 일자’ 설정이 핵심이에요

여기서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바로 날짜 설정입니다. 부가가치세 신고는 과세 기간 동안 실제로 돈이 들어온 날(정산일)을 기준으로 해요. 게스트가 숙박한 날이나 예약한 날이 아니라는 점, 꼭 기억해야 합니다!

2025년을 기준으로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에 맞춰 아래와 같이 ‘정산 일자’를 설정해 다운로드하세요.

신고 기간 (Filing Period) 과세 대상 기간 (Taxable Period) 에어비앤비 조회 ‘정산 일자’ (Airbnb Payout Date Range)
2025년 7월 (제1기 확정) 2025년 1월 1일 ~ 6월 30일 2025년 1월 1일 ~ 2025년 6월 30일
2026년 1월 (제2기 확정) 2025년 7월 1일 ~ 12월 31일 2025년 7월 1일 ~ 2025년 12월 31일

이렇게 다운로드한 자료가 바로 여러분의 소중한 매출 증빙 자료가 됩니다. 참 쉽죠? ^^

다운로드한 자료,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자료를 다운로드했다고 끝이 아니죠! 이 자료를 보고 부가세 신고서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알아볼게요.

CSV 파일 열어보기: 어떤 정보가 담겨있을까?

다운로드한 CSV 파일을 열어보면 여러 항목들이 영어와 한글로 복잡하게 나열되어 있어 당황스러울 수 있어요. 하지만 우리가 주목해야 할 핵심 항목은 몇 개 없답니다.

  • Date (날짜): 정산이 완료된 날짜입니다. 이 날짜 기준으로 기간을 설정했죠.
  • Gross Earnings (총 수입): 가장 중요한 항목입니다! 이 금액이 바로 여러분의 부가가치세 신고 기준이 되는 ‘매출액’이에요. 게스트가 지불한 숙박비와 청소비의 합계에서 에어비앤비 ‘게스트’ 서비스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 Host Fee (호스트 수수료): 총 수입에서 에어비앤비가 가져간 ‘호스트’ 서비스 수수료입니다. 이건 여러분의 비용(경비)에 해당해요.
  • Payout (대금 수령액): 총 수입(Gross Earnings)에서 호스트 수수료(Host Fee)를 뺀 후, 실제로 여러분의 통장에 입금된 금액입니다. 신고 매출액은 Payout이 아니라 Gross Earnings 기준이라는 점! 절대 헷갈리시면 안 돼요!

부가가치세 신고서에 매출액 기입하기

홈택스에서 부가세 신고를 진행할 때, 다운로드한 엑셀 파일에서 ‘Gross Earnings’ 항목의 합계를 구해야 합니다. 과세 기간 동안의 ‘Gross Earnings’를 모두 더한 금액이 여러분의 ‘과세표준’이 됩니다.

이 금액을 홈택스 신고서의 [과세표준 및 매출세액] 부분에서 [기타(정규영수증 외 매출분)] 란에 기입하면 돼요. 에어비앤비 매출은 신용카드 매출이나 현금영수증 발행분이 아니기 때문이죠.

에어비앤비 수수료, 비용 처리가 가능할까요?

당연히 가능합니다! ‘Host Fee’로 지불한 에어비앤비 수수료는 숙소 운영을 위해 필수적으로 발생한 비용이므로 경비 처리를 할 수 있어요. 다만 에어비앤비는 외국 법인이라 우리나라에서 통용되는 세금계산서나 계산서를 발급해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부가가치세 신고 시 ‘매입세액공제’를 받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하지만 5월에 하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에는 다운로드한 거래 내역 등을 증빙으로 활용하여 사업 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으니, 자료를 꼭 잘 보관해두셔야 해요.

에어비앤비 호스트를 위한 추가 세금 꿀팁!

매출 조회 방법을 완벽하게 익혔다면, 이제 절세를 위한 몇 가지 팁을 더 알아볼까요?

매입세액공제, 꼼꼼히 챙겨서 절세하세요!

일반과세자라면 숙소 운영을 위해 지출한 비용에 포함된 부가세를 돌려받는 ‘매입세액공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해요.

  • 인테리어 비용: 숙소를 꾸미기 위한 가구, 조명, 가전제품 구매 비용
  • 비품 구매 비용: 침구류, 수건, 샴푸, 휴지 등 어메니티 구매 비용
  • 공과금: 사업자 명의로 등록된 숙소의 전기요금, 가스요금, 통신비 등
  • 청소 및 유지보수 비용: 전문 청소업체 이용료, 수리비 등

이러한 비용을 지출할 때 반드시 세금계산서, 사업자용 현금영수증, 사업자용 신용카드를 사용해서 증빙을 남겨두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

혼자하기 어렵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

오늘 저와 함께 에어비앤비 매출 조회 방법을 알아봤지만, 세금 신고는 여전히 복잡하고 어려운 영역일 수 있어요. 특히 매입 자료가 많거나, 과세 유형 전환 등 고려할 사항이 많다면 혼자서 모든 것을 처리하다가 실수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주저하지 말고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해 드려요. 약간의 수수료가 발생하더라도, 잘못된 신고로 인한 가산세를 피하고 놓치고 있던 절세 항목까지 꼼꼼하게 챙길 수 있어 결과적으로는 더 이득일 수 있답니다.

궁금한 점이 있거나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하시면 언제든 문을 두드려 주세요.
* 이메일: tax@protax.co.kr
* 카카오톡: (카카오톡 채널 바로가기 링크)

복잡한 세금, 더 이상 혼자 끙끙 앓지 마시고 정확한 방법으로 스마트하게 해결해나가시길 바랄게요

 

👉 세금정보 확인하기 👈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