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세 결제 대행 매출 내역 조회 방법

부가가치세 결제 대행 매출 내역 조회 방법

 

부가가치세 결제 대행 매출 내역 조회 방법

안녕하세요! 어느덧 2025년 1월,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이 성큼 다가왔어요. 특히 온라인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장님들이라면 이번 부가세 신고가 더욱 중요하게 느껴지실 텐데요. 요즘은 정말 다양한 결제 방식을 사용하잖아요? 그래서 결제 대행사(PG사)를 통한 매출 내역을 꼼꼼하게 챙기는 것이 정말 중요해졌어요.

매출 누락 없이 정확하게 신고해야 나중에 가산세 걱정도 없겠죠? 오늘은 사장님들이 많이 사용하시는 주요 결제 대행사인 나이스페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의 부가세 신고용 매출 내역을 어떻게 조회하고 다운로드하는지 쉽고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

부가세 신고, 결제 대행 매출이 왜 중요할까요?

결제 대행사(PG사)란 무엇일까요?

우리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카드로 결제하거나 간편결제를 이용할 때, 이 결제 과정을 안전하게 처리해 주는 회사가 바로 결제 대행사, 즉 PG사에요. 나이스페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이 대표적이죠. 고객이 결제한 돈은 바로 우리 통장으로 들어오는 게 아니라, 이 PG사를 거쳐 일정 기간 후에 정산받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 사업장의 총매출은 PG사에 기록된 매출 내역을 반드시 포함해야 해요.

매출 누락, 정말 위험해요!

만약 PG사 매출을 깜빡하고 신고에서 누락하면 어떻게 될까요? 국세청은 홈택스를 통해 대부분의 카드 매출이나 현금영수증 발행 내역을 파악하고 있어요. PG사 자료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신고된 매출과 국세청이 파악한 자료에 차이가 발생하면, 과소 신고로 간주되어 무거운 가산세를 부담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불필요한 세금 지출로 이어지니, 처음부터 정확하게 챙기는 습관이 중요하답니다.

정확한 자료 준비의 첫걸음

부가세 신고는 결국 ‘얼마를 벌었고(매출), 얼마를 썼는지(매입)’를 증명하는 과정이에요. PG사에서 제공하는 부가세 신고 자료는 ‘매출’을 증명하는 가장 확실하고 기본적인 서류 중 하나입니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정확한 매출액을 신고하고, 이를 통해 공제받을 수 있는 매입세액과 비교하여 최종 납부세액이 결정되는 것이죠. 자, 그럼 이제 진짜로 자료를 조회하러 가볼까요?

나이스페이(NICEPAY) 매출 내역, 이렇게 조회해요!

홈페이지 로그인부터 시작해요

먼저 나이스페이 정산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해서 로그인을 해주세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으셨다면 ‘아이디/비밀번호 찾기’를 통해 미리 확인해두는 센스!

메뉴 경로 따라가기

로그인에 성공하셨다면, 상단 메뉴를 차근차근 살펴봐 주세요.
[정산조회] > [세금계산서] > [부가세 참고자료] 순서대로 메뉴를 클릭하면 된답니다. 생각보다 간단하죠?

기간 설정하고 엑셀로 저장하기!

이제 가장 중요한 단계에요. 부가세 신고에 필요한 과세 기간을 정확하게 설정해주세요. 예를 들어, 2024년 2기 확정신고라면 2024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기간을 설정해야 합니다. 기간 설정 후 [조회] 버튼을 누르면 해당 기간의 매출 내역이 나타나요. 마지막으로 화면에 보이는 엑셀 저장 버튼을 눌러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나이스페이 자료 준비는 끝이랍니다!

카카오페이(Kakaopay) 부가세 신고 자료, 어렵지 않아요!

파트너 어드민 페이지 접속은 필수!

카카오페이 매출은 ‘카카오페이 파트너 어드민’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하거나 즐겨찾기 해둔 주소로 접속하여 로그인해주세요.

Settlement 메뉴를 찾아주세요

로그인 후 보이는 화면에서 [Settlement] 메뉴를 찾아 클릭해주세요. 영문 메뉴라고 당황하지 마세요! Settlement는 ‘정산’이라는 뜻이랍니다. 하위 메뉴에서 [부가세 신고자료]를 선택하면 돼요.

암호화 옵션, 무엇을 선택할까요?

신고 자료를 다운로드할 때 ‘암호화’ 여부를 선택하는 팝업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이때 ‘암호화 안 함’을 선택하면 바로 엑셀 파일이 열려서 내용을 확인하기 편리해요. 만약 ‘암호화’를 선택하면, 로그인 시 인증받았던 휴대폰 번호로 비밀번호가 문자로 발송되니 이 점 꼭 기억해주세요.

네이버페이(Naver Pay) 정산 관리, 한눈에 확인하기!

정산 관리 메뉴로 바로 가기

네이버페이센터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후, 왼쪽의 메뉴 바를 주목해주세요. [정산 관리] 카테고리 안에 있는 [부가세 신고] 메뉴를 클릭하면 된답니다. 네이버페이는 메뉴가 직관적으로 잘 되어 있어서 찾기 쉬울 거예요.

기간 선택 후 조회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부가세 신고 대상 기간을 정확하게 선택한 후 조회 버튼을 눌러주세요. 네이버페이를 통한 모든 결제 내역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나타납니다. 신용카드, 계좌이체, 포인트 결제 등 결제 수단별로 구분된 자료를 확인할 수 있어요.

엑셀 다운로드로 마무리

조회된 내역 우측 상단에 있는 ‘엑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모든 자료가 정리된 엑셀 파일을 손쉽게 저장할 수 있습니다. 정말 간단하죠? ^^

이렇게 각 결제 대행사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한 매출 내역 자료는 부가세 신고의 핵심적인 부분이 됩니다. 꼼꼼하게 챙겨서 정확하고 현명하게 부가세 신고를 마치시길 바랄게요

댓글 남기기